1. 고사성어 견리망의 뜻 의미
견리망의란 "이익을 접하면 의로움도 뭐고 없다."라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입니다. 눈앞에 닥친 이익을 위해서라면 정의는 뒷전이며, 심지어 가족이나 친구 심지어 연인과의 의리도 져버리는 자들을 일컫는 용어인데요. 쉽게 다시 풀어 설명하자면 '눈앞의 이익에 사로잡혀 자기 자신의 처지를 잊은 모습.'을 행하는 자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한자어로 '볼 견(見)', '이익 리/이로울 리(利)', '잊을 망(忘)', '의로울 의(義)'의 한자어를 사용합니다. "눈앞의 이익을 볼 경우 의로움 마저 잊을 지어다." 정도의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겠죠.
2. 사용 사례
장주(莊周)와 그의 사상을 계승한 제자들과 장자의 후학들의 사상을 기록한 책인 장자 산목(山木)편 8장에서 '견리망의'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장자 산목(山木)편 8장 |
莊周 遊於雕陵之樊할새 覩一異鵲이 自南方來者 翼廣이 七尺이오 目大 運寸이러니 感周之顙而集於栗林이어늘 莊周曰 此何鳥哉오 翼殷不逝하며 目大不覩하놋다 蹇裳躩步하야 執彈而留之하야서 覩一蟬이 方得美蔭而忘其身하며 螳蜋이 執翳而搏之하야 見得而忘其形하며 異鵲이 從而利之하야 見利而忘其眞이러라 莊周怵然曰 噫라 物固相累라 二類 相召也로다하고 捐彈而反走하더니 虞人이 逐而誶之할새 莊周 反入하야 三日을 不庭호라 藺且藺且從而問之호대 夫子는 何爲로 頃間을 甚不庭乎오 莊周曰 吾守形하다가 而忘身하야 觀於濁水而迷於淸淵하라 且吾聞諸夫子호니 曰入其俗하야 從其令이라할따녀 今吾 遊於雕陵而忘吾身하야늘 異鵲이 感吾顙하야 遊於栗林而忘眞이어늘 栗林虞人이 以吾로 爲戮할새 吾所以不庭也니라 |
장주(莊周)가 조릉(雕陵)의 울타리 안에서 산보하며 노닐 적에 남방에서 온 기이한 까치 한 마리를 보았는데, 날개 너비가 7척이고 눈의 크기는 직경이 1촌이었는데 장주의 이마를 스쳐 지나가서는 밤나무 숲에 머물렀다. 장주가 말했다. “이 새는 어떤 새인가. 날개는 큰데도 제대로 날지 못하고, 눈은 큰데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구나.” 이렇게 말하고는 아랫도리를 걷어 올리고 살금살금 걸어가서 새총을 잡고 당겨 새를 잡으려 머물러 있다가, 매미 한 마리가 막 시원한 나무 그늘을 얻어 자기 몸을 잊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 매미 뒤에는 사마귀가 도끼모양의 발을 들어 올려, 매미를 잡는다는 이득만 생각하고 자기 몸을 잊고 있었다. 이상한 까치는 바로 그 뒤에서 사마귀를 잡는다는 이익만 생각하고 자기 몸을 잊고 있었다. 장주는 깜짝 놀라 “아! 물(物)이란 본시 이처럼 서로 해를 끼치는 관계로구나. 이욕(利欲)에 빠진 두 가지 다른 종류는 서로가 서로를 부르는구나.” 하고는 새총을 버리고 몸을 돌려 달아나려는데 산지기가 쫓아와 장주를 호되게 꾸짖었다. 장주가 돌아와 사흘 동안 기분 나빠했다. 제자 인저(藺且)가 찾아가 물었다. “선생께서는 요즈음 무엇 때문에 오랫동안 기분 나빠하십니까?” 장주가 말했다. “나는 바깥의 형체에 정신을 빼앗겨 자신을 잊어버리고 탁한 물만 보다가 맑은 연못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게다가 우리 선생님에게서 ‘세속에 들어가서는 세속을 따라야 한다.’고 들었는데, 지금 나는 「세속의 금법(禁法)을 어기고」 조릉 울타리 안에 들어가 노닐다가 「막 그늘을 차지하고 자신을 잊어버린 매미처럼」 자신을 잊어버렸는데 마침 괴이한 까치가 내 이마를 스치고 가기에 어느새 밤나무 숲 속으로 들어가 노닐다가 나 자신의 본래 모습을 잊고 있었는데, 산지기가 나를 밤을 훔친 범죄자로 처벌해야 한다고 꾸짖었기 때문에 내가 기분 나빠하는 것이다.” |
위 내용은 장자가 조릉을 거닐다가 특이한 까치를 발견하고, 이를 잡기 위해 쫓아갔는데 새가 움직임이 없었고, 이를 의아하게 보니 까치는 사마귀를 노리던 상태였는데 그 사마귀는 매미를 노리고 있었으며, 그 먹잇감인 매미는 시원한 그늘을 취하고 있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즉, 장자가 본 까치, 까마귀, 매미 모두 눈앞의 이익(먹잇감, 시원한 그늘)에 눈이 멀어 눈앞에 닥친 위험을 전혀 눈치채지 못한 것에 대해 말하는 것인데요.
이 광경을 본 장자는 "만물은 이런 것이다."라며 자연의 섭리를 확인하였으나 정작 본인마저도 밤서리꾼으로 오해받아 산지기에 잡혀 질책을 듣기도 하죠. 장자 본인마저도 견리망의(見利忘義) 한 것입니다.
고사성어 견리망의에 대한 뜻과 의미를 잘 파악하셨길 바라며, 다른 고사성어도 함께 공부해 보시길 바랍니다.
3. 다른 고사성어 더 보기
고사성어 가가호호 뜻 의미
1. 고사성어 가가호호 뜻 의미가가호호란 '집 가(家)', '집 가(家)', '지게 호(戶)', '지게 호(戶)'라는 한자어를 쓰는 고사성어입니다. 비슷한 고사성어로 "가가대소"라는 말이 있는데 뜻은 전혀 상
bbingedanmat.tistory.com
고사성어 가가대소 뜻 의미
1. 고사성어 가가대소 뜻 의미가가대소란 '꾸짖을 가(呵)', '꾸짖을 가(呵)', '클 대(大)', '웃음 소(笑)'라는 한자어를 쓰는 고사성어입니다. 여기서 "가"의 한자어는 웃는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bbingedanmat.tistory.com
'뜻'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축구 인터넷 신조어 가패삼기 뜻 유래 (1) | 2025.02.21 |
---|---|
일본 축구 레전드 나가토모 유토 FC 도쿄와 재계약 체결 (1) | 2025.01.10 |
고사성어 파경중원 뜻 의미 (0) | 2024.10.18 |
고사성어 가가호호 뜻 의미 (1) | 2024.10.02 |
고사성어 가가대소 뜻 의미 (0)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