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가가대소 뜻 의미

by 우리집경제지킴이 2024. 10. 2.

 

가가대소
가가대소 뜻

 

1. 고사성어 가가대소 뜻 의미

가가대소란 '꾸짖을 가(呵)', '꾸짖을 가(呵)', '클 대(大)', '웃음 소(笑)'라는 한자어를 쓰는 고사성어입니다. 여기서 "가"의 한자어는 웃는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해석하게 됩니다. 옛 한자어 呵 呵라고 표현되는 문장이 있다면 현대 기준으로 "ㅋㅋ"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가가대소_정조_한글어찰첩
정조가 원손 시절 외숙모에게 보낸 편지

 

2. 정조의 비밀 편지

활용된 예로 "정조의 비밀 편지"가 있습니다.

 

정조의 비밀 편지에서는 '껄껄'이라는 표현이 여럿 보이는데 여기서 표현된 한자어는 '가가(呵 呵)'였으며, 현대식으로 풀이하자면 'ㅋㅋ'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지요.

 

정조
대한제국 추촌 황제 정조 선황제

 


정조의 편지 중 일부


조선 제22대 국왕
정종 | 正宗


계속 나랏일로 바빠 아마도 쉴 틈이 없을 것이다. 긴 밤에 잘 있었는가?

요사이 소식은 어찌 알려주지 않는가? 그리고 일전에 당부한 것은 과연 어용겸에게 상세히 말하였으며, 누구누구처럼 절친한 사람이나 집안 자제들에게도 절대로 누설하지 말고 더욱 치밀하게 하라고 신신당부하였는가?

내 눈에 띄는 사람은 단지 어용겸 하나뿐이니, 그가 어떻게 내 뜻을 펼지는 모르겠으나 내 마음은 이러하다. 껄껄.

산림(송환기)은 상경한 뒤로 성 밖의 여관에 머물고 있다 하는데 과연 그러한가? 여관 말고 머무를 곳이 있으면 좋을 듯 한데, 이 점을 도모하는 것이 어떠한가?

얼마 전 이문원에서 조용한 틈을 타서 노론의 시파와 벽파 중 어떠한 자가 외입한 일을 이야기하였는데, 경이 그것을 서용보에게 말했다고 한다. 서용보가 듣는 것이야 무슨 문제가 있겠는가마는, 내가 그에게 말하지 않은 것을 경은 함부로 이야기하였다.

나는 이처럼 경을 격의 없이 대하는데 경은 갈수록 입을 조심하지 않는다. 앞으로 경을 대할 때 나 역시 입을 다무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이 없으니 우스운 일이다. 이른바 '이 떡 먹고 이 말 말아라'라는 속담을 다시금 명심하는 것이 어떠한가?

경은 이제 늙어서 머리가 세었다. 게다가 처지와 신임이 어떠한가? 그런데 매번 입조심 한 가지 일에 대해서만은 탈이 생기는 일을 면하지 못하니, 경은 과연 생각 없는 늙은이라 하겠다.

너무나도 답답하다.

이영재의 장문 편지에 대한 소문을 사람들에게서 들었는데, 경은 어찌하여 전혀 알려주지 않는가?

모두 네 번 보냈고, 네 번째 편지가 더욱 볼 만하다는데 과연 그렇다고 하는가?

우의정의 일은 근래에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가?

서용보가 주장하기는 하나 이익모와 이노춘 중에 누구의 말을 더 듣는다고 하는가?

이만 줄인다.


정사년(丁巳年/1797년), 4월 10일.

 

위 편지 중 "껄껄" 부분을 확인하며 가가대소의 실제 사용 사례를 엿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