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가가호호 뜻 의미

by 우리집경제지킴이 2024. 10. 2.

 

가가호호
가가호호 뜻

 

1. 고사성어 가가호호 뜻 의미

가가호호란 '집 가(家)', '집 가(家)', '지게 호(戶)', '지게 호(戶)'라는 한자어를 쓰는 고사성어입니다. 비슷한 고사성어로 "가가대소"라는 말이 있는데 뜻은 전혀 상반되어 있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가가대소의 가는 '꾸짖을 가(訶)'라는 한자어를 사용하나 '가가(呵 呵)'라는 뜻이 오늘날의 "ㅋㅋ"로 통하고 있답니다. 대표적 사례로 조선의 제22대 국왕 정종의 <비밀의 편지(1797년)>에서 확인해 볼 수 있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가가호호에서의 "가가"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집 가(家)' 자를 쓰고 있기에 겉 뜻은 "집에 지게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으나 '지게 호(戶)' 자를 잘 볼 시 '문 문(門)' 자와 비슷한 구석이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문 문(門)' 자를 절반으로 잘라서 볼 경우 '지게 호(戶)' 자와 비슷해 보인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그리하여 "가가호호"의 속 뜻은 "집집마다" 혹은 "한 집 한 집마다"라는 뜻을 가지게 된답니다.

 

 

2. 실제 활용 사례

조선왕조실록 단종실록, 남효온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에서 그 사례를 엿볼 수 있는데 그중 일부를 살피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추강선생문집 (秋江先生文集)


(생략)....行盡洞口入一村 曰壤堂 家家戶戶 鉅竹成林...


(생략)....행진동구인일촌일양당가가호호거죽성림...

(생략)....동구를 다 지나 한 마을로 들어갔다. 양당이라 했다. 집집마다 대나무가 숲을 이루고...

 

가가호호의 실제 활용 사례를 보면 "집집마다 00이 있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다른 고사성어 더 보기

 

고사성어 가가대소 뜻 의미

1. 고사성어 가가대소 뜻 의미가가대소란 '꾸짖을 가(呵)', '꾸짖을 가(呵)', '클 대(大)', '웃음 소(笑)'라는 한자어를 쓰는 고사성어입니다. 여기서 "가"의 한자어는 웃는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bbingedanma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