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TI 뜻 계산 장단점 확인

by 우리집경제지킴이 2025. 2. 28.

DTI 뜻 계산 장단점 확인

DTI_뜻_계산_장단점
Debt to Income

 

1. DTI 뜻

DTI는 Debt to Income의 약어로 쉽게 말해 '연소득 대비 금융비율 부담률'을 의미합니다. 지난번 소개해드렸던 DSR이 Debt Service Ratio의 약어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의미하듯이 DTI는 '총부채상환비율'을 뜻하는 약어이지요.

 

이는 소득에 따른 부담 가능한 대출 가능 자금을 판별하는 지표로 쓰입니다. 즉, 차입자 (돈이나 물건을 빌린 사람) 의 소득에 대한 부채의 비율로써 차입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연간 상환액 (대출 이자와 원금) 을 나눈 값이죠.

 

 

2. DTI 계산

상술하였듯이 돈이나 물건을 빌린 사람의 소득을 기준으로 연간 상환액을 나눈 값이 DTI값입니다.

 

쉽게 설명해서 연봉 3,000만 원의 대한민국 평균 직장인 A가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은행권을 통해 (1~2금융권 관계없이) 2년 동안 금리 5%의 1억 원의 대출을 받았다고 가정한다면 DTI는 183.33%가 나옵니다.

 

연봉이 3,000만 원 정도가 되는 직장인 A씨가 본인 연봉의 3.3배 정도에 해당하는 1억 원을 빌려서 2년 만에 갚겠다고 하였을 때 '가능할까?'에 대한 지표를 숫자로서 표현하는 개념이 DTI인 것입니다.

 

직장인의 경우 금융권을 통해 대출을 받으려고 할 때 재직증명서, 소득증빙 서류 등을 요청하는데 이 서류들을 기반으로 빌리려는 자의 소득을 가늠하고, 이를 통해 자금 마련에 대한 '한도 승인' 혹은 '한도 거절'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3. DTI 장단점

금융권은 물론 정부에서는 DTI 수치만 보고서 대출을 실행하지는 않습니다.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인데 단점으로는 과도한 규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더불어 저소득층의 자산 마련을 차단하는 경위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합니다.

 

더불어 현실적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제한 사항이며, 차입자들이 제2~3금융권 혹은 그 이하로 향할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지난 2005년 8월부터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DTI(총부채상환비율)를 도입하였습니다. 투기과열지역인 서울 강남, 송파, 서초 등은 40%에 대해 적용하고 있고, 생애 최초 구입자의 경우 투기지역 여부에 관계없이 60%로 완화되는 등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4. DSR 알아보기

 

DSR 뜻 DSR 계산 규제 3단계 스트레스

1. DSR 뜻DSR은 Debt Service Ratio의 약어로 쉽게 말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말한다. 즉, 대출자의 연간 소득 대비 대출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을 일컫는다고 이해하면 쉽다. 주택 대출 원리금, 신

bbingedanma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