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SR 뜻
DSR은 Debt Service Ratio의 약어로 쉽게 말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말한다. 즉, 대출자의 연간 소득 대비 대출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을 일컫는다고 이해하면 쉽다.
주택 대출 원리금, 신용/학자금/장기 카드 대출 등 각종 부채를 모두 합산한 상환 비율을 일컫는 뜻을 가지고 있기에 추가적으로 자금 마련을 위해 은행권을 방문하신다면 총부 채 상환 비율(DTI ; Debt-to-Income Ratio : 총부채상환비율)로 심사할 경우 한도가 줄어들게 된다.
2. DSR 계산
일상생활에서 접목해 보자면 월 급여 200만 원과 블로그 등 부업으로 50만 원의 수익이 있다고 가정하자. (현금 수익은 없다고 가정) 그러면 월 250의 수익 중 원리금 상환액이 100만 원이라면 DSR 계산은 100만 원 / 연간 소득으로 계산하면 된다.
쉬운 계산 방법 |
DSR =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
DSR 70이 넘어가면 이자를 내기 벅찬 수준임을 의미하기에 위험 차주가 된다.
3. DSR 규제
DSR이 적용되는 경우 은행권 40%, 비은행권 50~65% 정도가 적용된다.
정부는 채무자들의 가계부채 관리를 원활하게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스트레스 DSR을 시행하고 있는데 상환능력을 넘어서는 과도한 가계대출 확대 방지와 고정금리 확대 등을 통한 가계부채 질적개선이 주요 목적이다.
2024년 9월부터는 2단계 스트레스 DSR을 시행했고, 올해인 2025년부터는 3단계를 실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통계청>에 의하면 서울시 5분위 가구의 연소득은 약 6,000만 원이고 DSR과 소득으로만 계산할 시 해당 가구들이 30년 분할상환 자금마련을 받아 내 집 장만을 실현하려고 할 경우 구매 가능한 주택의 시세는 약 6억 원대라고 한다. 즉, 서울 아파트 평균 시세를 고려했을 때 서울에서 제일 잘 사는 5분위 소득층조차 주담대로만은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하다는 의미.
'뜻'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시공능력순위 상위 30개 기업 2025년 7월 말까지 적용 (0) | 2025.03.04 |
---|---|
DTI 뜻 계산 장단점 확인 (0) | 2025.02.28 |
해외축구 인터넷 신조어 가패삼기 뜻 유래 (1) | 2025.02.21 |
일본 축구 레전드 나가토모 유토 FC 도쿄와 재계약 체결 (1) | 2025.01.10 |
고사성어 파경중원 뜻 의미 (0) | 2024.10.18 |